728x90
반응형

2025/06/21 2

고기의 윤리: 우리는 왜 도살을 외면하는가?

마트에서 진열된 삼겹살과 한우 꽃등심을 보며 군침을 흘리는 사람은 많다. 하지만 ‘이 고기가 어디서 왔는가’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드물다. 우리는 고기를 소비하면서도, 도살과 죽음의 과정을 회피한다. 왜 우리는 고기를 먹으면서도 도살을 외면할까? 이것은 단순한 심리의 문제가 아닌, 현대 육식 문화의 윤리적 구조를 반영한다.🧠 심리적 거리두기 – 사랑하는 동물, 먹는 동물우리는 개나 고양이를 보면 ‘귀엽다’고 말하면서, 소나 돼지는 ‘맛있겠다’고 말한다. 심리학자들은 이를 **'정서적 거리두기'(emotional distancing)**라 부른다.인간은 ‘가축화’를 통해 특정 동물만 식용 범주로 인식사회적 학습을 통해 어린 시절부터 ‘먹는 동물’과 ‘친구 동물’을 구분이로 인해 도축과 육식 간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6.21

우리는 왜 고기를 구워 먹는가?

인류의 식문화에서 가장 상징적인 행위 중 하나는 ‘고기를 불에 굽는 것’이다. 단순히 익혀 먹는 것을 넘어서, 불판 위의 고기는 인간 사회의 진화, 공동체 형성, 감각의 진화를 모두 아우르는 존재다. 우리는 왜 고기를 굽는가? 이 질문을 통해 인류 문명의 뿌리를 들여다보자. 🔥 1. 불의 문명, 고기의 시작 고기를 굽는 행위의 기원은 약 170만 년 전으로 추정된다. ‘호모 에렉투스’는 인류 최초로 불을 사용했고, 불은 단순한 조리도구가 아니라 사회적 연결의 촉진제였다. 생고기보다 부드럽고 소화가 쉬운 익힌 고기는 인간의 대뇌 피질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했고, 이는 곧 인류의 진화 가속화로 이어졌다.고기를 굽는 행위는 생존 기술을 넘어서, 무리 지어 불 앞에 모이는 행위로 공동체 문화의 기초가 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6.21
728x90
반응형